본문 바로가기
728x90

건축실무32

건설업 중대산업재해 파헤치기(중대재해처벌법, 적용범위, 적용대상, 보호대상, 경영책임자 이행 의무사항, 처벌) 이번 글에서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산업재해를 자세히 살펴보고자한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의 안전 및 보건을 확보하도록 경영책임자에게 의무를 부과한 법률이다. 경영책임자가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를 다하지 않아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게 된다면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해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에 근거한 중대산업재해 정의를 살펴보고,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는 사업장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처벌이 적용되는 대상은 누구인지, 법에 의해 보호받는 대상은 누구인지, 중대재해를 막기위해 경영책임자가 이행해야 하는 의무사항, 의무사항 미이행시 받을 수 있는 처벌항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1. 중대재해 정의 (중대산업재해 / 중대시민재해) 중대재해는 중대산업재.. 2023. 9. 11.
건축법 용어 파헤치기 ③ (건축면적 vs 바닥면적 산정방법, 제외항목) 지난 글에서는 건축면적과 연면적, 바닥면적, 연면적, 건폐율과 용적률, 높이제한과 일조확보 높이제한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2023.09.08 - [분류 전체보기] - 건축법 용어 파헤치기 ② (건축면적 vs 연면적, 건폐율 vs 용적률, 높이제한 vs 일조확보 높이제한) 건축법 용어 파헤치기 ② (건축면적 vs 연면적, 건폐율 vs 용적률, 높이제한 vs 일조확보 높이제한) 지난 글에서는 대지, 도로, 신축, 증축, 재축, 개축, 대수선, 리모델링 등 대지와 건축 관련 용어에 대해 살펴보았다. 2023.09.07 - [분류 전체보기] - 건축법 용어 파헤치기 ① (대지, 도로, 건축, 신축 know-how-space.com 이번 글에서는 건축면적과 바닥면적의 산정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고자 한.. 2023. 9. 10.
건축법 용어 파헤치기 ② (건축면적 vs 연면적, 건폐율 vs 용적률, 높이제한 vs 일조확보 높이제한) 지난 글에서는 대지, 도로, 신축, 증축, 재축, 개축, 대수선, 리모델링 등 대지와 건축 관련 용어에 대해 살펴보았다. 2023.09.07 - [분류 전체보기] - 건축법 용어 파헤치기 ① (대지, 도로, 건축, 신축, 증축, 재축, 개축, 이전, 대수선, 리모델링, 실내건축) 건축법 용어 파헤치기 ① (대지, 도로, 건축, 신축, 증축, 재축, 개축, 이전, 대수선, 리모델링, 실 건축법의 제정 목적은 건축물의 대지·구조·설비 기준 및 용도 등을 정하여 건축물의 안전·기능·환경 및 미관을 향상시킴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건축법을 이해하기 위 know-how-space.com 이번 글에서는 일반인이 건물을 지을 때 건축법에서 혼돈하기 쉬운 용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인이 가장.. 2023. 9. 8.
건축법 용어 파헤치기 ① (대지, 도로, 건축, 신축, 증축, 재축, 개축, 이전, 대수선, 리모델링, 실내건축) 건축법의 제정 목적은 건축물의 대지·구조·설비 기준 및 용도 등을 정하여 건축물의 안전·기능·환경 및 미관을 향상시킴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건축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축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용어의 정확한 의미, 인정되는 범위 등을 먼저 파악하고 관련 기준들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건축법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대지, 도로, 건축, 신축, 증축, 대수선, 리모델링 등 대지와 건축 관련 용어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1. 대지 관련 (대지, 도로 등) (1) "대지"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 필지로 나눈 토지를 말한다. 일부 토지는 둘 이상의 필지를 하나의 대지로 하거나 하나 이상의 .. 2023. 9. 7.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② (품질관리 건설기술인 배치기준, 품질관리 업무, 품질검사 대행, 품질시험 및 검사의 실시) 지난 글에서는 품질관리계획과 품질시험계획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에 대해 살펴보았다. 2023.09.06 - [분류 전체보기] -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①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①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 이번 글에서는 건설공사의 품질관리 관련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수한 시공을 위해 건설사업자 또는 주택건설업자는 공사 전반의 품질을 관리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건설기술진흥법에 의 know-how-space.com 이번 글에서는 품질관리자 배치기준, 품질관리자 업무, 품질검사 대행, 품질시험 및 검사 실시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품질시험 및 검사는 한국산업표준, 건설기준,.. 2023. 9. 6.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①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 이번 글에서는 건설공사의 품질관리 관련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수한 시공을 위해 건설사업자 또는 주택건설업자는 공사 전반의 품질을 관리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건설기술진흥법에 의거하여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해 공사를 관리하거나 품질관리자를 배치하여 관련 업무를 수행하게 해야 한다. 또한 품질관리업무를 국토부 고시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에 따라 수행해야 한다. ※ 관련근거 : 건설기술진흥법 제55조, 시행령 제89조, 시행규칙 별표5, 건설공사품질관리업무지침 품질관리계획과 품질시험계획의 차이점을 우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품질관리계획 수립대상과 품질시험계획의 수립대상, 수립내용의 차이를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1.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수립대상 - 건설사업자와 주택건설.. 2023. 9. 6.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사업계획 승인신청(대상, 제외대상, 제출서류, 승인절차 등) 이번 글에서는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을 건축할때 사업계획 승인을 받아야 하는 대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사업계획 승인 대상과 승인권자를 확인하고 제외대상은 무엇이 있는지, 사업계획을 신청할 때 제출해야 하는 서류, 승인절차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1. 사업계획 승인신청 대상 및 제외대상, 승인권자 - 사업계획 승인신청 대상 아래표 기준 이상의 주택건설사업 또는 대지조성사업을 시행하려는 자는 승인권자에게 사업계획승인을 받아야 한다. 구분 주택건설사업 대지조성사업 단독주택 공동주택 기준 30호 이상 30세대 이상 10만제곱미터 이상 예외 50호 이상 - 공공사업에 따라 조성된 용지를 일단의 토지로 공급받아 건설하는 단독주택 - 한옥 50세대 이상 - 다음 요건을 모두 갖춘 단지형 연립주택 또는 단지형 다세.. 2023. 9. 5.
건설 안전관리자 배치기준(공사규모, 안전관리자 수, 선임방법, 기준자격 등) 건설현장에서 중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안전관련 기준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공사에서는 안전관리자를 배치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안전관리자 배치 공사규모, 안전관리자 수, 선임방법, 안전관리자 자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안전관리자 배치기준 (공사규모, 안전관리자 수, 선임방법) 사업장 상시근로자 수 안전관리자 수 안전관리자 선임방법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관계수급인은 100억원 이상) ~ 120억원 미만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1 제1호가목의 토목공사업은 150억원 미만) 1명 이상 2. 안전관리자 선임자격 - ①~⑦호까지 및 ⑩~⑫호까지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선임해야 한다. 공사금액 1.. 2023. 9. 4.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처벌 파헤치기 ③ (건설업 등록말소, 1년 이내 건설업 영업정지) 저번 글에서는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에 의해 영업정지 및 과징금을 받을 수 있는 항목에 대해 살펴보았다. 2023.08.31 - [분류 전체보기] -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처벌 파헤치기 ② (영업정지 및 과징금-부실시공, 부정청탁 등)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처벌 파헤치기 ② (영업정지 및 과징금-부실시공, 부정청탁 등) 지난 글에서는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시 받을 수 있는 처벌 중 시정명령을 받을 수 있는 항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영업정지를 받을 수 있는 위반 항목들을 자세하게 살펴보고자 한 know-how-space.com 이번 글에서는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으로 건설업 등록말소 또는 1년 이내 영업정지를 받을 수 있는 항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국토부장관은 건설사업자, 수급인, 하도급인의 건설업 .. 2023. 9. 2.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처벌 파헤치기 ② (영업정지 및 과징금-부실시공, 부정청탁 등) 지난 글에서는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시 받을 수 있는 처벌 중 시정명령을 받을 수 있는 항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영업정지를 받을 수 있는 위반 항목들을 자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영업정지 또는 과징금은 그 위반항목의 중요도에 따라 분류되며, ① 6개월 이내 영업정지 또는 1억원 이하의 과징금, ② 1년 이내 영업정지 또는 공사금액 30% 이하 과징금, ③ 1년 이내 영업정지 또는 10억원 이하의 과징금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6개월 이내 영업정지 또는 1억원 이하의 과징금 국토부장관은 건설사업자가 아래의 사항들에 해당하는 경우,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정지를 명하거나 영업정지를 갈음하여 1억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1-1. 영업정지 - 미이행(하자담보책임, 시정명령 등.. 2023. 8. 31.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처벌 파헤치기 ① (시정명령 - 부실시공, 발주자 미통보, 하수급(하도급), 하자담보 미이행 등) 한국토지주택공사(LH)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와 관련하여 시행사와 감리 등에 대한 처벌 등이 이슈가 되고 있다. 시공사(건설사업자)가 시공사로서 해야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거나, 발주자의 지시를 이행하지 않음으로서 건설산업기본법을 위반했을 경우 처벌을 받을 수 있다. 건설산업법 위반에 의한 처벌은 위반사항의 중요도에 따라 시정명령, 영업정지, 건설업의 등록말소로 구분할 수 있다. 국토부장관은 건설사업자에게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일정기간 시정을 명하거나 그 밖에 필요한 지시를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시공사가 건설산업법 위반으로 시정명령을 받는 항목들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1. 시정명령 - 공사관리 관련 - 설계도서, 시방서 및 도급계약 내용 등에 따르지 않는 등 건설공사 부실시공 .. 2023. 8. 30.
주차장법 파헤치기 ③ (주차구획 기준, 부설주차장 구조·설비 기준, 지하식 부설주차장, 건축물식 부설주차장) 이전 주차장법 파헤치기 2개의 글에서 노상주차장, 노외주차장, 부설주차장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전용주차구역 설치대상 및 설치대수를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주차장을 만드는 데 있어 필수로 알아야 하는 수치적 기준을 자세하게 확인하고자 한다. 주차장의 주차구획에 대한 기준을 먼저 살펴본 후, 부설주차장의 구조 및 설비 기준 등을 살펴보도록 한다. 1. 주차장의 주차구획 기준 주차장 주차구획의 크기는 평행주차냐 평행주차 이외냐에 따라 달라지며, 세부적으로는 경형인지, 일반인지, 확장형인지, 장애인전용인지에 따라서도 주차구획의 크기가 달라진다. 주차구획을 그리는 경우 흰색 실선으로 표시해야 하며, 경형자동차 전용주차구획은 파란색 실선으로 표시해야 한다. - 평행주차 먼저 평행.. 2023. 8. 30.
728x90